본문 바로가기

야생화(풀꽃)/여름에 피는 들꽃

가는금불초

 

 

 

 

 

 

 

 

 

 

 

 

 

 

 

 

 

 

 

 

 

 

                             2012730~31 수변

 

 

 

 

 

 

 

 

 

                         201281  수변

"가는금불초"[국화과]

 

학명/Lnula britannica var. linariifolia (TURCZ.) REGEL.

다른이름/가는잎금불초,좁은잎금불초

분포/산과 들의 양지 쪽 풀밭,해변가 풀밭 등에 자란다.

개화기/6~8월

결실기/8월부터[수과]

꽃색/노란색

높이/40~80cm 정도 자란다.

특징/잎은 어긋나며 드물게 달린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말라서 없어지고

       밑 부분의 잎은 긴 피침형이며 잎자루가 길다. 줄기 중앙의 잎은 선형,선상 피침형으로 길이4~9.5cm,폭이 5~10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뒷면에 복모와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이 16~25mm 정도이다.총포는 반구형이고 포린이 4줄로 배열하며 선점이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 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옆으로 뻗으며 번식하고 군락을 이룬다.

용도/관상용,약용[전초],식용[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형태/여러해살이풀

 

-번식-

종자와 포기나누기로 한다.

10월에 종자를 채취해 바로 뿌리는 것이 좋고 이듬해 봄에 포기 나누기를 할 수도 있다. 종자 발아율이 높은 품종이어서 여러 번에 걸쳐 뿌려도 좋다.
대량으로 재배하기에 알맞은 품종으로 토지가 비옥한 곳을 선택해 심는다. 물은 2~3일에 한 번 주고 직사광을 받지 않는 곳이 좋다..

 

-이름의 유래-

"가는금불초"의 접두어 "가는"은  식물의 기관,모양,특성을 나타낸 말로 유사종에 비해 잎이 가는 데서 붙여진 것이며,"금불초"는 샛노랗게 피는 꽃을 빗대어

황금빛 부처님 같은 풀이라는 의미로 금불초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속명  "Lnula"는 금불초 종류를 통칭하는 것으로 라틴명이며, 고대 라틴어"inaein"에서 유래한 말로 "맑게한다"는 뜻으로  뿌리의 약성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하며

종소명 "britannica"는 "영국의"라는 뜻이다.

'야생화(풀꽃) > 여름에 피는 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깨비가지  (0) 2008.09.29
단풍취  (0) 2008.09.28
눈빛승마  (0) 2008.09.18
흰진범  (0) 2008.09.16
고추나물  (0) 2008.09.06